@Summary
-. HTML5 는 현재 살아있는 HTML 표준임.
-.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은 표준 HTML을 정의하는 표준화 기구임.
-. HTML 표준은 하위 호환성을 지키며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변화되고 있음.
-. doctype 은 사용하고 있는 HTML 버전을 브라우저에 알려줌.
-. <head> 요소에 있는 <meta> 태그는 콘텐츠 타입과 문자 인코딩을 브라우저에 알려줌.
-. <meta> 태그의 charset 속성이 웹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을 브라우저에 알려줌.
-. 대부분의 웹 페이지는 utf-8 인코딩을 사용.
-. W3C 유효성 검사기는 웹 페이지가 표준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온라인 무료 서비스임.
-. 유효성 검사기로 HTML이 적격한지, 요소와 속성의 표준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.
-.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: http://validator.w3.org/
-. 표준을 지키면?
* 페이지가 더 빨리 로딩됨.
* 브라우저 종류에 따른 차이점이 적어짐.
* CSS도 훨씬 잘 동작함.
-. 기본적인 HTML 표준은?
* 항상 <!doctype> 으로 시작하라.
* <html> 요소는 doctype 다음에 반드시 열고 닫아라.
* <head>와 <body> 외에는 <html> 의 자식이 될 수 없다.
* <head> 안에는 <meta charset="utf-8">과 같은 문자 인코딩을 반드시 넣어라.
* <head>안에는 신뢰성이 있다는 표시로 반드시 <title> 요소를 넣어라.
* 속성을 체크하라. 예를 들면, <img> 요소에는 alt 속성이 필수이다.
-. HTML5 는 현재 살아있는 HTML 표준임.
-.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은 표준 HTML을 정의하는 표준화 기구임.
-. HTML 표준은 하위 호환성을 지키며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변화되고 있음.
-. doctype 은 사용하고 있는 HTML 버전을 브라우저에 알려줌.
-. <head> 요소에 있는 <meta> 태그는 콘텐츠 타입과 문자 인코딩을 브라우저에 알려줌.
-. <meta> 태그의 charset 속성이 웹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을 브라우저에 알려줌.
-. 대부분의 웹 페이지는 utf-8 인코딩을 사용.
-. W3C 유효성 검사기는 웹 페이지가 표준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온라인 무료 서비스임.
-. 유효성 검사기로 HTML이 적격한지, 요소와 속성의 표준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.
-.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: http://validator.w3.org/
-. 표준을 지키면?
* 페이지가 더 빨리 로딩됨.
* 브라우저 종류에 따른 차이점이 적어짐.
* CSS도 훨씬 잘 동작함.
-. 기본적인 HTML 표준은?
* 항상 <!doctype> 으로 시작하라.
* <html> 요소는 doctype 다음에 반드시 열고 닫아라.
* <head>와 <body> 외에는 <html> 의 자식이 될 수 없다.
* <head> 안에는 <meta charset="utf-8">과 같은 문자 인코딩을 반드시 넣어라.
* <head>안에는 신뢰성이 있다는 표시로 반드시 <title> 요소를 넣어라.
* 속성을 체크하라. 예를 들면, <img> 요소에는 alt 속성이 필수이다.
No comments:
Post a Comment